카테고리 없음

나스닥 용어 정리 1편. 지표에서 찾아보기

깊음위에 2025. 4. 11. 09:01
반응형

Top Rated Nasdaq 100 Stocks

 

나스닥에 가봤다. 

어렵다. 

뭐 지표가 영어로 막써있다.

그렇지. 얘들은 영어를 잘하는 애들이니까. 영어써도 된다. 

영어를 못하는 나는 저 지표가 뭔지 하나하나 찾아봐야 한다. 

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남겨본다 

 

📊 표에 나오는 주요 용어 & 쉬운 설명

영어 용어 쉬운 한국어 풀이

Ticker 종목 코드. 주식 검색할 때 쓰는 짧은 이름 (예: META는 메타플랫폼즈)
Company Name 회사 이름. 어떤 회사인지 알려줌.
Price 현재 주가. 주식 1주 사려면 드는 가격.
Market Cap (Market Capitalization) 시가총액. 회사 전체의 몸값. 주가 × 주식 수. 규모가 클수록 큰 기업.
PE Ratio (Price-to-Earnings Ratio) 주가수익비율. 주가가 그 회사의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 보는 지표. 숫자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저렴한 편.
Price/Sales (P/S Ratio) 주가매출비율. 매출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. 숫자가 낮을수록 실속 있는 주식.
Relative Strength 상대 강도. 최근 주가가 얼마나 강하게 오르고 있는지 보여주는 점수. (보통 100점 만점 중 70 이상이면 강한 편!)
Price/Book (P/B Ratio) 주가순자산비율. 회사가 가진 순재산(자산 – 빚)에 비해 주가가 비싼지 보는 지표.
Price/Cash Flow 주가현금흐름비율. 회사가 실제로 벌어들이는 현금에 비해 주가가 적당한지 보는 지표.
Dividend Yield 배당 수익률. 주식 한 주 가지고 있으면 1년에 얼마를 배당으로 받는지 비율로 표시. (ex. 1%면 100만 원 투자하면 1년에 1만 원 받는다는 뜻)
Long-Term EPS Growth (EPS = Earnings Per Share) 장기 주당순이익 성장률. 앞으로 몇 년간 이 회사의 이익이 얼마나 자랄지 예상하는 수치. 숫자가 클수록 "앞으로 잘 나갈 것"이라는 기대가 큼.

예를 들어,
PE Ratio가 15이라는 건
“지금 이 회사 주식은, 이 회사가 1년 동안 번 돈의 15배 정도 가격이구나”
라는 뜻이야.

Dividend Yield가 2%라면,
“이 주식 가지고 있으면 1년에 2% 정도는 배당금으로 받는구나”
이렇게 보면 돼!


🏆 이제 진짜 쉬운 말로 회사들 소개해볼게!

1. T-Mobile (TMUS)

📱 핸드폰 통신사야 (우리나라로 치면 SKT 같은 거)

  • 요즘 주가가 잘 오르고 있고
  • 돈도 잘 벌고,
  • 앞으로 더 성장할 가능성이 아주 커! (기대되는 회사!)

2. 룰루레몬 (LULU)

👖 요가복이랑 운동복 만드는 회사야

  • 주가도 괜찮고
  • 돈은 잘 벌지만, 배당은 안 줘.
  • 그 대신 “앞으로 더 커질 거니까 기다려봐~” 이런 느낌!

3. AMAT (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)

💻 반도체 만들 때 쓰는 장비 파는 회사

  • 돈 잘 벌고,
  • 주가도 비싸지 않아서 투자자들이 좋아해.
  • 배당도 살짝 줘!

4. Copart (CPRT)

🚗 사고 난 차나 중고차를 경매로 파는 회사야

  • 수익은 좋고,
  • 돈도 잘 벌지만, 주가가 좀 비싼 편.
  • 그래도 장사 잘 돼서 사람들이 관심 가짐.

5. Fortinet (FTNT)

🛡️ 해킹 막아주는 회사야 (보안 관련)

  • 배당은 없고,
  • 지금 주가도 꽤 비싸지만
  • "앞으로 엄청 클 거다!"라는 기대가 큼!

6. Meta (META)

📱 Facebook, Instagram 만든 회사야

  • 엄청 큰 회사고,
  • 돈도 진짜 잘 벌어.
  • 배당은 거의 안 주지만, 그래도 꾸준히 클 걸로 보이는 회사지!

 

💡 정리하자면

  • 앞으로 많이 클 것 같은 회사” → TMUS, FTNT, META
  • 지금도 괜찮고 안정적인 회사” → AMAT, ADP
  • 배당이 중요해! 이자처럼 돈 받는 거 좋아!” → ADP, QCOM
  • 배당 없어도 괜찮고, 미래를 보고 투자할래” → LULU, FTNT

 

반응형